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사이버범죄구제업체
- 랜덤채팅 협박
- 라바웨이브
- 영상통화사기
- 영상통화 협박
- 영상통화 사기
- 랜덤채팅 사기
- 동영상 유포 협박
- 몸캠협박
- 팀 카시아
- 영상사기
- 몸캠사기
- 영통협박
- CSSIA
- 라인 유포
- 영상통화 유출
- 동영상 유포
- 영섹사기
- 카카오톡 협박
- 메신저톡 사기
- 카톡 영상 사기
- 몸캠피씽
- 영통사기
- 동영상 사기
- 사이버범죄구제
- 메신저톡 협박
- 페이스톡 유포
- 동영상사기
- 카톡사기
- 팀카시아
- Today
- Total
넓은 네트워크 공간을 위해서..
프로토콜이란? 본문
※ 프로토콜이란?
① 개념
● 프로코톨을 번역하면 규약 약송 약정이라는 의미인데 정보통신에서는 통신규약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.
● 컴퓨터 시스템 또는 각종 단말기 및 연결 매체들이 정보통신을 목적으로 서로 연결하고자 할 때
그 하드웨어들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서로 호환되지 않으면 네트워크끼리의 연결이 되지 않는다.
● 모든 프로토콜은 ISO(국제표준화기구) 같은 국제협회에서 추천하고 제정한다.
※ 프로토콜의 사용
● 인터넷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보면 대부분이 " http:// " 로 시작이 된다.
여기서 나오는 " http:// " 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서 월드 와이드웹
서비스를 지탱해주는 프로토콜이다.
●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는 정보통신을 위한 시스템이다.
※ 프로토콜의 기능
① 세분화와 재합성
● 장문의 메시지 블록을 전송에 용이하도록 세분화하여 전송
● 수신처에서는 세분화하여 전송된 메시지를 다시 장문으로 결합
● 전송처와 수신처의 전송중 세분화 내역은 프로토콜의 단위
② 캡슐화
● 각 계층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블록은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가짐
● 제어 정보만으로 구성된 PDU는 아래 3가지로 나뉨
주소 - 발신처와 수신처의 주소
오류검출부호 -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프레임을 검사
프로토콜제어 - 프로토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작업
③ 연결제어
● 연결 제어란 발신처와 수신처같의 연결 과정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
연결확립->데이터 전송-> 연결 해제 세가지 단계를 거침
④ 흐름제어
● 수신처와의 신호로 발신처가 데이터 전송속도를 수동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게끔 함
⑤ 오류제어
● 전송 도중 발생이 가능한 오류들에 대비하여 미리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